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해촉설계사 잔여수당 못 준다"…중소형보험사 설계사 '술렁'

부광우 기자
입력 2017.12.13 06:00 수정 2017.12.13 10:45

올해 10월부터 보험계약 지급 수수료 50% 삭감

해촉 후 3년 간 지급하던 잔여수당 주지 않기로

"중소형사 소속 설계사 이탈 가속화할 것" 우려

현대라이프생명이 현장 영업 조직을 크게 줄이면서 떠난 설계사들에게 잔여수당을 지급하지 않겠다고 한 것을 두고 다른 보험사 설계사들까지 술렁이고 있다. 재무 부담을 키우는 새 국제회계기준 도입을 앞두고 자본 여력이 떨어지는 보험사들의 구조조정이 잇따르는 가운데 이 같은 움직임이 확산될 경우 중소형사 설계사들의 이탈을 가속화할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데일리안 현대라이프생명이 현장 영업 조직을 크게 줄이면서 떠난 설계사들에게 잔여수당을 지급하지 않겠다고 한 것을 두고 다른 보험사 설계사들까지 술렁이고 있다. 재무 부담을 키우는 새 국제회계기준 도입을 앞두고 자본 여력이 떨어지는 보험사들의 구조조정이 잇따르는 가운데 이 같은 움직임이 확산될 경우 중소형사 설계사들의 이탈을 가속화할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데일리안

현대라이프생명이 현장 영업 조직을 크게 줄이면서 떠난 설계사들에게 잔여수당을 지급하지 않겠다고 한 것을 두고 다른 보험업계가 술렁이고 있다.

재무 부담을 키우는 새 국제회계기준(IFRS17) 도입을 앞두고 자본 여력이 떨어지는 보험사들의 구조조정이 잇따르는 가운데 이 같은 움직임이 확산될 경우 중소형사 설계사들의 이탈을 가속화할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이에 따라 IFRS17을 전후로 국내 보험업계의 부익부 빈익빈 현상이 더욱 짙어질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13일 생명보험협회에 따르면 올해 3분기 말 기준 현대라이프의 점포는 23개로 상반기 말(78개) 대비 70.5%(55개) 급감했다. 설계사 수 역시 같은 기간 2244명에서 1469명으로 34.5%(775명)나 줄었다.

현대라이프의 조직 축소를 둘러싸고 유독 말이 많은 이유는 설계사들에 대한 수수료와 수당에 대한 내용 때문이다. 현대라이프는 지난 10월부터 설계사들의 보험계약 수수료를 50% 삭감하며 이에 동의하지 않는 설계사는 모두 해촉하겠다고 통보했다. 남은 설계사들 역시 수수료의 절반을 감액하겠다고 전했다.

특히 현대라이프의 조치들 중 타사 설계사들까지 예민한 반응을 보이고 있는 부분은 잔여수당에 관한 것이다. 현대라이프는 설계사 해촉 시 3년 동안 나눠 지급하던 보험판매 잔여수당을 해촉 이후 주지 않기로 했다.

보험설계사들 사이에서는 이로 인해 앞으로 다른 중소보험사 전속설계사들까지 이탈을 고민하게 될 것이란 얘기가 나온다. 여러 보험사와의 제휴를 통해 백화점처럼 다양한 회사의 상품을 파는 독립법인대리점(GA)도 비슷한 입장에 놓을 수 있다는 해석이다.

한 보험설계사는 "IFRS17 시행으로 향후 보험업계의 구조조정이 확산 될 것으로 보이는데 이번 현대라이프의 사례가 기준처럼 자리 잡을 경우 중소형사 소속 설계사들의 고민은 더욱 깊어질 것"이라며 "수수료와 수당이 수익원인 설계사들 입장에서 향후 이를 제대로 받을 수 없게 될 수도 있다는 위험은 사실상 당장 보험사를 갈아타야 한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GA 소속의 다른 설계사는 "GA 설계사들은 특정 보험사에만 소속된 전속설계사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업무 안정성이 떨어지는 대신 수수료와 수당에 더욱 민감할 수밖에 없다"며 "현대라이프의 이번 조치는 해당 보험사를 넘어 비슷한 위기에 놓은 다른 보험사 상품 판매까지 꺼리게 만들 것"이라고 내다봤다.

현대라이프가 대규모 구조조정에 돌입해야 했던 가장 큰 이유는 쌓이는 적자 때문이다. 현대라이프는 2012년 현대모비스와 현대커머셜에 인수된 이후 한 해도 흑자를 내지 못했다. 현대라이프는 ▲2012년 -319억원 ▲2013년 -316억원 ▲2014년 -871억원 ▲2015년 -485억원 ▲2016년 -198억원 등 최근 5년 간 2189억원의 당기순손실을 냈다.

자본 여력은 위험 수준까지 떨어졌다. 보험사의 재무 건전성을 나타내는 수치인 지급여력(RBC)비율에서 현대라이프는 지난 9월 말 기준 147.6%를 나타냈다. 과거 금융당국은 150% 이상의 RBC비율을 유지하라고 권고해 왔고, 이는 지금도 보험업계의 가이드라인으로 자리 잡고 있는 수치다.

특히 시행이 다가오는 IFRS17이 구조조정 시점을 더욱 앞당겼다는 평이다. 2021년 IFRS17이 시행되면 보험사의 보험금 부채 평가 방식은 현행 원가에서 시가로 변경된다. 이에 가입 당시 금리를 반영해 부채를 계산해야 하고 그만큼 보험사의 부담은 늘어난다. 최근 보험사들이 자본 확충과 함께 비용을 줄이기에 나서고 있는 이유다.

이에 장기적으로 대형 보험사를 향한 설계사 쏠림 현상이 심화될 것이란 목소리는 더욱 커지고 있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지금까지 설계사들에게 있어 보험사 선택의 가장 큰 요소는 높은 수수료와 수당이었고 영업력이 뛰어날수록 그 영향은 더욱 컸다"며 "하지만 IFRS17 도입이 다가오면서 보험사의 안정성이 점점 부각되고 있다"고 말했다.

부광우 기자 (boo0731@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